2025-03-18
(조선비즈, 2025년 3월 18일)
“금융당국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국회 정무위, 18일 ‘홈플러스 사태’ 현안질의
국민의힘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과 관련해 국민적 의혹 커지고 있는 가운데, 홈플러스의 사기성 채권 발행, 대주주인 MBK 김병주 회장의 배임 의혹 등을 철저한 진상규명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18일 밝혔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사기성 채권 발행, 배임 등 MBK의 홈플러스에 대한 의혹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소상공인, 개인채권자, 국민연금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금융당국과 함께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3월 4일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 파트너스는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자구책을 내놓지 않고 있고, 신용 등급 하락을 인지한 상황에서 5949억원 규모의 각종 채권을 발행했는지 여부 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정책위의장은 “홈플러스 측은 문제가 된 채권 발행이 신용 등급 강등 전에 결정된 것이라고 해명하고, MBK 창업주 김병주 회장은 소상공인 결제 대금 문제 해결을 위해 사재 출연 의사를 밝혔지만 국민 70% 가까이는 이 같은 해명을 신뢰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재 출연 범위 등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구체적 언급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와 함께 MBK가 홈플러스의 과도한 인수 금융상환 부담을 떠넘기며 회사 경쟁력을 훼손한 점, 김병주 회장의 역외 탈세 의혹 등을 근거로 배임 및 탈세 혐의에 대한 본격 조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정책위의장은 또 “2015년 국민연금이 홈플러스에 6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으며 만기 이자율 감안하면 9000억원 이상을 회수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3131억원만 회수된 것으로 알려졌다”며 국민연금 손실 가능성도 우려했다.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재무 구조 개선과 단기채무상환, 인력 효율화 작업까지 진행할 경우 총 2조원의 자금이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홈플러스 사태 관련 현안 질의를 할 예정이다. 다만 핵심 당사자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참한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과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강경모 홈플러스 입점협회 부회장 등 4명은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