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홈플러스 사태’ MBK 세무조사

2025-03-18

(조선일보, 2025년 3월 12일)

 

조사4국 투입해 고강도 조사

 

사모펀드 운영사 MBK파트너스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조사가 전방위 확산하고 있다. MBK는 자신이 대주주인 국내 2위 대형 마트 홈플러스에 대해 신용 등급 하락을 이유로 돌연 기업 회생 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해, 납품업체와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는 오는 18일 홈플러스 사태 긴급 현안 질의를 열기로 하고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홈플러스 공동대표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국세청은 이날 MBK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비정기(특별) 세무조사를 담당하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조사를 담당해, 작년 가을 국회 국정감사 당시 논란이 됐던 김병주 MBK 회장의 역외 탈세 의혹을 집중적으로 검증하는 등 강도 높은 조사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론의 화살이 MBK에 향하는 이유는 대주주의 자금 투입 등 자구 노력 없이 지난 4일 기습적으로 법원에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입점 업체들이 정산금을 떼일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기업어음(CP) 등을 사들인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융감독원은 10일 각 증권사의 개인 대상 홈플러스 CP와 전자단기사채 판매 현황 파악에 나섰다. 홈플러스의 신용 위험을 투자자들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는 불완전 판매 논란이 일자 실태 파악에 나선 것이다.

 

홈플러스의 대금 지급 지연에 따른 우려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회생법원은 11일 납품업체, 점포 임차인들에게 지급하지 않은 대금 가운데 1127억원을 우선적으로 변제하겠다는 홈플러스의 신청을 받아들였다. 지난 7일 3457억원의 미지급 정산 대금을 변제할 수 있도록 한 데 이어 두 번째다. 홈플러스는 14일까지 상세 지급 계획을 수립해 각 협력사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의 세무조사도 MBK에 압박이 될 수 있다. MBK 관계자는 “2020년 이후 5년 만에 진행되는 정기 세무조사 성격이며 (이번 조사가) 홈플러스 기업 회생 신청 등 최근 이슈와는 무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 기사 전문: 국세청, ‘홈플러스 사태’ MBK 세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