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한국금융신문, 2025년 4월 20일 보도)
지난 18일 국회에서 석포제련소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환경단체들. / 사진=환경운동연합
낙동강 폐수 무단 배출, 카드뮴 오염수 방류 등 지속적인 환경 오염 문제로 물의를 빚은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쇄·이전 논의를 정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오는 6월 조기 대통령 선거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폐쇄 로드맵 수립’을 포함한 4대강 자연성 회복 정책을 공약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 보 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 등 환경단체들은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환경공약 정책 제안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우리는 4대강의 자연성 회복과 국민 건강을 지키는 정책을 후보자들이 공약으로 제시할 것으로 촉구한다”며 “세종보 재가동 중단, 낙동강 녹조 대책 마련, 하천의 자연성 회복, 4대강 보 처리 방안 추진, 하구둑 개방, 초고도 오폐수처리 의무화 등의 정책을 제안한다”고 촉구했다.
환경단체들은 아울러 주요 정당에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를 위한 정부 차원의 TF 구성과 석포제련소 시민감시단 제도 도입 등도 이번 대선 공약에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단체들은 정부가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과 폐쇄를 둘러싼 로드맵을 수립하고 TF를 구성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들은 “석포제련소의 이전과 폐쇄는 단순한 지역 갈등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과제”라며 “환경부, 경상북도 등 관계 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정부 차원의 TF를 즉각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 기사 전문: 낙동강 오염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 높아지는 폐쇄·이전 목소리